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기 기어다니는 시기와, 아직 기지 못하는 아기를 위한 완벽한 가이드
    아동 발달 & 재활 건강노트 2025. 4. 28. 18:08

     

    아기의 첫 움직임, 기기 발달을 자연스럽게 이끌어주세요. 터미타임, 리드미컬한 손과 무릎 흔들기 연습으로 감각 발달, 균형, 정서 조절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기는 시간은 아기의 세상을 여는 소중한 시작입니다.

     

     

    목차

     

     

    아기 기어다니는 시기: 아직 기지 못하는 아기를 위한 가이드

     

     

     

    아기의 기어다니기는 부모가 손꼽아 기다리는 큰 발달 이정표입니다.
    하지만 모든 아기가 같은 속도로 기어다니는 것은 아니죠. 어떤 아기는 빠르게 기기 시작하지만, 어떤 아기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직 기지 않는 아기를 키우고 있다면, 걱정이 앞서기도 할 거예요. 괜찮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아기의 발달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알게 될 것입니다.

     

    아기 기어다니는 시기, 언제 시작될까?

    일반적으로 아기들은 7~9개월 사이에 기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존재합니다. 어떤 아기는 6개월에 배밀이를 시작하기도 하고, 어떤 아기는 첫 생일을 앞두고 겨우 네 발로 기기 시작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포인트:

    • 12개월이 넘었는데도 기지 않고, 환경 탐색 시도도 없다면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지 않고 바로 걷는 아기도 있습니다. 그러나 기는 과정은 대근육 발달과 뇌 발달에 매우 중요한 경험이므로, 가능하면 기는 것을 장려해야 합니다.

    아기가 아직 기어다니지 않는다면?

    걱정되기 전에 점검해보세요

    아기가 기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질문들을 스스로 점검해보세요:

    • 아기가 주변 환경을 탐색하려는 시도를 하나요? (물건을 잡으려 손을 뻗는다거나 다리를 꿈틀거린다거나)
    • 구르기, 스쿠팅 등 다른 방식으로라도 이동하려고 하나요?
    • 터미타임(Tummy Time)을 자주 하고 있나요?
    • 아기가 서려고 하거나, 무릎을 꿇고 일어서려고 하나요?

    이 질문에 대부분 '예'라고 답했다면, 아기는 각자 속도로 성장 중입니다.
    하지만 탐색 시도조차 없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담을 추천합니다.

    아기의 다양한 기어다니기 방법

    모든 아기가 똑같은 방식으로 기는 것은 아닙니다!
    아기의 개성에 따라 여러 유형의 기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배밀이(코만도 크롤): 배를 바닥에 대고 팔과 다리로 몸을 끕니다.
    • 네 발 기기(크로스 크롤링): 손과 무릎으로 기며, 반대 팔과 다리를 함께 움직입니다.
    • 손과 발 기기(베어 크롤): 손과 발을 펴고 엉덩이를 들어 올린 상태로 이동합니다.
    • 스쿠팅: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를 밀어 이동합니다.
    • 구르기: 몸을 옆으로 굴려 이동하기도 합니다.

    핵심은:
    어떤 방식이든 아기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주변 세계를 탐험하고 있다면, 이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기어다니기의 놀라운 이점 6가지

    아기가 기어다니는 경험은 단순한 '이동'을 넘어 신체, 감각, 인지 발달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1. 감각 발달

    • 다양한 표면(카펫, 타일, 잔디 등)을 기면서 촉각이 발달합니다.
    • 균형 감각(전정 감각)과 몸 인식(고유수용감각)이 향상됩니다.
    • 시각 추적깊이 지각 능력도 키워집니다.

    2. 놀이와 탐색

    • 아기는 기면서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험합니다.
    • 더 많은 움직임은 놀이 시간의 질을 높이고, 독립성과 자신감을 키웁니다.

    3. 실행 기능 향상

    • 원하는 목표물에 다가가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 발달합니다.
    • 작업 기억계획 세우기 능력도 함께 성장합니다.

    4. 소근육 기능 발달

    • 네 발 기기 자세는 아기의 손가락을 스트레칭시켜,
      나중에 수저질, 장난감 놀이, 그림 그리기 같은 섬세한 손 사용을 돕습니다.

    5. 먹기 능력 향상

    • 손힘과 어깨 안정성이 향상되어, 아기가 스스로 식사를 하기가 쉬워집니다.

    6. 뇌 발달

    • 기어다니기는 양쪽 신체를 조화롭게 사용하게 하여 뇌량(corpus callosum)을 강화합니다.
    • 좌뇌와 우뇌의 통합과 소통을 촉진합니다.

    아기가 기어다니지 않을 때 해줄 수 있는 5가지 팁

    아기의 기어다니기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지금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터미타임을 충분히 해주세요

    아기가 태어난 첫날부터 하루에 여러 번 짧게 터미타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터미타임은 목, 어깨, 등 근육을 강화해 기는 데 필요한 힘을 길러줍니다.

    팁:
    아기가 싫어하면 시간을 아주 짧게 시작해서 조금씩 늘려주세요. 노래를 부르거나 얼굴을 맞대고 웃어주는 것도 좋아요.

    2. 푸시업을 시도해보세요

    아기 앞에서 부모가 푸시업 자세를 보여주세요!
    아기는 당신의 행동을 보고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필요하면 아기의 가슴 밑을 살짝 받쳐 팔을 펴는 동작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3. 손과 무릎으로 흔들기 연습

    아기가 네 발 자세(손과 무릎으로 지탱하는 자세)를 할 수 있다면,
    앞뒤로 살짝 흔들며 균형과 리듬을 익히게 도와주세요.
    리듬감을 위해 음악을 활용하면 효과가 좋습니다!

    팁:

    • 아기가 네 발 자세를 취할 때, 부모가 아기 엉덩이를 아주 가볍게 톡톡 밀어주며 앞뒤로 흔들어 주세요.
    • 포인트는 '리듬'입니다. 부드럽고 일정한 리듬으로 엉덩이를 밀어주어 아기가 자세를 오래 유지하고 자연스럽게 균형을 잡도록 돕습니다.
    • 이 방법은 미국에서 소아물리치료사들이 활용하는 Rhythmic Movement Training의 원리를 활용한 것입니다.
      신체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은 뇌와 신경계의 연결을 강화하여
       원시 반사(primitive reflexes)를 통합하고,
       감각-운동 통합을 촉진하여,
       뇌간과 소뇌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결과적으로, 아기의 집중력, 균형 감각, 정서 조절 능력까지 함께 향상시키는 기초가될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한 리드미컬한 흔들기 연습이 아기 발달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하세요!

    4. 장난감을 조금 멀리 두세요

    아기가 쉽게 닿지 못하는 거리에 장난감을 배치하면, 기어가려는 동기를 자연스럽게 끌어낼 수 있습니다.
    처음엔 아주 조금 멀리, 점점 거리를 늘려주세요.

    5. 움직이는 장난감을 활용하세요

    바퀴 달린 장난감처럼 움직이는 물체는 아기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아기가 장남감을 향해 이동했다면 다시 거리를 두어 더 연습하게 해주세요.
    장난감이 굴러가면 아기가 쫓아가려고 기어가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팁:

    아기가 기어와서 장난감을 잡았다면 칭찬과 함께 장난감을 충분히 가지고 놀 수 있게해주세요.

    아기의 기어다니기는 성장의 큰 발판입니다

    아기가 기어다니는 모습은 단순히 귀엽기만 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신체적, 감각적, 인지적 성장을 이끄는 핵심 발달 과정입니다.

    • 아직 기지 않는 아기라면, 조급해하지 말고 다양한 방법으로 기는 경험을 도와주세요.
    • 아기가 스스로 기어다니는 날, 분명히 모든 기다림이 보람으로 바뀔 것입니다.

    당신의 아기는 자신만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지지와 격려로, 아기의 놀라운 발달 여정을 함께해 주세요!

    다음에는 7개월, 8개월 그리고 9개월 아기 발달에 맞는 각각의 놀이 방법으로 곧 찾아오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해요~

     

     

    작성자 소개
    물리치료사 | Ph.D | 신경계·소아 재활 전문가

    • 임상 경력 14년
    • 신경계 물리치료, 소아물리치료, 보행분석, 인간공학 및 재활 대학 강의
    • 발달재활서비스 운동발달 제공인력
    • 현장과 연구를 함께하는 경험으로, 아기들의 건강한 발달을 응원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