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동재활 핵심 치료법]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보바스 & 보이타 치료 완전정리
    아동 발달 & 재활 건강노트 2025. 4. 12. 19:00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는 단순한 근력강화나 운동치료를 넘어서, 중추신경계의 기능 회복과 감각-운동 통합을 유도하는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중에서도 ‘보바스 치료’와 ‘보이타 치료’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재활치료법으로, 각각의 방식은 아동의 신경계 발달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두 치료법의 원리, 적용 방식, 치료자세, 자극 포인트 등 실전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모두 정리해 소개합니다. 보호자와 치료사 모두에게 도움이 될 실제적인 재활 정보입니다.

     

     

     

    [아동재활 핵심 치료법]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보바스 & 보이타 치료

     

     

     

    1. 보바스 치료란?

    보바스 치료는 촉진(facilitation)핸들링(handling)을 통해 비정상적인 반사 활동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재학습하는 치료 기법입니다. 현대적으로 발전한 보바스 접근은 중추신경계 손상에 의한 자세 조절 장애, 동작 제한, 기능 저하를 가진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문제해결 중심 접근법입니다.

    보바스 치료의 핵심 목표

    • 아동의 자세 긴장도를 조절
    • 정상적인 운동-감각 경험 제공
    • 자기조절(self-control) 능력 향상
    • 기능적이고 경제적인 움직임 습득

     

    2. 정상 자세 조절 기전 (NPCM)

    보바스 치료는 정상적인 자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2-1. 정상 자세긴장도

    자세긴장도는 신경학적 요소(각성 수준, 인지·지각, 고유감각 반사, 피부 반사, 피드백·피드포워드 메커니즘)와 비신경학적 요소(근육 성질, 길이-장력 관계, 점성, 탄력성, 가역성 등)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2-2. 상호신경 교차지배

    운동 시 작용근과 대항근, 그리고 신체의 양측, 중심부와 말단부 간의 균형 잡힌 긴장도 조절을 통해 적절한 움직임이 이루어집니다. 중심부의 안정성 확보는 말단부의 자유로운 가동성에 필수적입니다.

    2-3. 다양한 움직임 패턴

    개인은 각기 다른 움직임 패턴을 가지지만, 동작은 최소한의 관절 움직임으로 경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뇌의 통합된 기능에 의해 조절됩니다.

     

    3. 치료 중재 방법

    3-1. 치료 중재 순서

    보바스 치료는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 준비단계: 근긴장도를 높이는 요소 제거 + 아동의 안정성 확보
    • 치료단계: 아동의 문제점과 특성에 맞춘 치료 적용
    • 마무리단계: 기능적 움직임으로 연결 → 일상생활 동작으로 전이

    3-2. 핸들링 기법

    핸들링은 아동의 자세 조절 능력과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 저긴장 아동: 말단 조절점 자극 → 아동 스스로 움직임 유도
    • 고긴장 아동: 중심부 조절점 자극 → 안정성과 이완 유도

    3-3. 고유수용성 조절

    치료사의 손은 강도, 방향, 반복성 조절이 자유로워 아동의 신경계를 효과적으로 자극합니다. 기구에 비해 질 높은 감각-운동 자극 제공이 가능하며, 골격근의 협응과 조화를 이끌어냅니다.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보바스 & 보이타 치료

     

    4. 보바스 치료의 원칙

    • 개별 아동의 상태에 따라 접근법 차별화
    •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를 핸들링과 지지면으로 조절
    • 정상적인 감각-운동 경험 제공
    • 연령과 발달단계에 맞는 정상 운동 패턴 교육
    • 능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조절력 향상
    • 습득한 기술을 **일상생활 동작(ADL)**에 적용
    • 신체 각 부위가 전체에 미치는 영향 고려한 전신 접근
    • 비신경학적 요소(예: 근육, 관절, 체형 등)도 중요하게 반영
    • 평가와 치료를 동시에 수행

     


    1. 보이타 치료란?

    보이타(Vojta) 치료는 아동 재활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접근 중 하나입니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이나 발달지연을 보이는 아이들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으로, 신체의 특정 유발점을 자극해 반사적인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정상적인 신경계의 작용을 촉진하고, 운동기능의 회복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보이타 치료는 단순한 물리치료나 근력 강화 운동이 아닙니다. 뇌의 고유한 반응 체계를 자극하여, 선천적으로 내재된 움직임 패턴을 끌어내고, 이를 반복 유도함으로써 정상적인 자세 조절 및 이동기능이 회복되도록 돕습니다.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출발자세’와 ‘유발점 자극 방향’입니다. 정확한 자세 설정과 정해진 자극 방향으로 자극을 주었을 때에만 신체가 원하는 반사적 반응을 나타내며, 이 반응을 통해 뇌와 신경계가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2. 보이타 치료의 원리

    보이타 치료는 신체에서 특정한 자세와 자극을 설정하고, 그 유발점을 자극했을 때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반사적 반응을 반복 훈련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나타나는 움직임은 단순한 반사가 아닌, 정상 발달 아동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내는 이동 패턴과 매우 유사합니다.

     

    즉, 치료사는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없는 움직임을 정확한 자세 + 자극을 통해 ‘끌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며, 그로 인해 신경계가 스스로 회복하고 기능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보바스 & 보이타 치료

     

    3. 치료 핵심: 자세와 유발점

    보이타 치료는 각 자세마다 그에 맞는 출발 자세가 존재하고, 그 자세에서 자극할 **유발점(zone)**이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출발 자세 → 정해진 유발점 자극 → 기대 반응 유도 이 순서가 정확히 이루어졌을 때 치료의 효과가 가장 높습니다. 이제부터 각 반사 패턴별로 자세하게 설명해줄게요.

    3-1. 반사적 기기 Reflex Creeping

    출발 자세

    •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는 얼굴 쪽으로 30도 회전
    • 얼굴 쪽 팔: 어깨관절 120~135도 굽힘 + 30도 벌림 / 팔꿈치 약 45도 굽힘 / 손에 딱딱한 봉 쥐게 함
    • 뒤통수 쪽 팔: 몸통에 자연스럽게 나란히 놓음
    • 얼굴 쪽 다리: 편안하게 둠
    • 뒤통수 쪽 다리: 엉덩관절과 무릎을 가볍게 굽힘 / 발뒤꿈치와 궁둥뼈 결절이 일직선상

    유발점과 자극 방향

    부위자극 위치자극 방향
    얼굴 쪽 팔 위팔뼈 안쪽 위관절융기 꼬리, 안쪽, 등쪽
    얼굴 쪽 어깨 어깨뼈 안쪽 가장자리 아래 1/3 머리, 바깥쪽, 배쪽
    얼굴 쪽 골반 ASIS (앞엉덩뼈가시) 꼬리, 안쪽, 등쪽
    얼굴 쪽 다리 넙다리뼈 안쪽 위관절융기 머리, 바깥쪽, 배쪽
    뒤통수 쪽 어깨 어깨뼈 봉우리 꼬리, 안쪽, 등쪽
    뒤통수 쪽 몸통 몸통 유발점 머리, 안쪽, 배쪽
    뒤통수 쪽 팔 노뼈 붓돌기 머리, 안쪽, 등쪽
    뒤통수 쪽 엉덩이 중간볼기근 꼬리, 안쪽, 배쪽
    뒤통수 쪽 발 발꿈치뼈 바깥쪽 머리, 안쪽, 배쪽

     

     

    3-2. 에르스테 자세 Erste Position

    출발 자세

    •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를 30도 회전
    • 팔은 반사적 기기와 동일한 자세
    • 양 다리는 무릎 꿇고, 발이 치료대 밖으로 나오도록 완전히 굽힘
    • 발꿈치뼈와 궁둥결절이 일직선
    • 척추는 곧게 펴져 있어야 함

    유발점과 자극 방향

    반사적 기기와 동일한 유발점 사용 가능
    → 출발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근육 반응과 체중 지지 방식이 조금씩 다름
    → 모든 유발점 + 자극 방향 동일하게 적용 가능

     

    3-3. 반사적 뒤집기 1단계 Reflex Turning 1

    출발 자세

    • 바로 누운 상태에서 팔다리는 편하게 두고, 머리는 한쪽으로 30도 회전
    • 상지·하지 모두 이완된 상태에서 시작

    유발점과 자극 방향

    부위자극 위치자극 방향
    가슴 가슴 유발점 (6-7 or 7-8번 늑간 사이) 머리, 안쪽, 등쪽
    얼굴 옆 꼭지돌기(뒤통수) + 광대뼈 부위 저항 자극

     

    기대반응

    • 머리와 척추의 자연스러운 폄
    • 팔: 어깨 바깥돌림 + 벌림 + 굽힘, 손목은 손등 굽힘과 노쪽 편위, 손가락은 벌림과 폄
    • 다리: 엉덩관절 굽힘 + 벌림 + 바깥돌림, 무릎 굽힘, 발목 발등굽힘과 뒤집힘, 발가락 벌림

     

    3-4. 반사적 뒤집기 2단계 Reflex Turning 2

    출발 자세

    • 옆으로 누운 자세
    • 아래쪽 팔: 어깨 바깥돌림 + 90도 굽힘, 팔꿈치 반 굽힘, 손은 뒤침
    • 위쪽 팔: 몸통 위에 가볍게 올려둠
    • 아래쪽 다리: 엉덩관절 + 무릎 약간 굽힘
    • 위쪽 다리: 엉덩관절과 무릎 45도 이상 굽힘

    유발점과 자극 방향

    부위자극 위치자극 방향
    어깨 어깨뼈 안쪽 가장자리 아래 1/3 머리, 바깥쪽, 배쪽
    골반 ASIS (앞엉덩뼈가시) 꼬리, 안쪽, 등쪽

     

    기대 반응

    • 머리는 바닥에서 들려지고, 척추는 폄 유지
    • 얼굴 쪽 팔: 어깨 바깥돌림, 팔꿈치 굽힘 또는 약간 펴짐, 손은 손등굽힘 + 벌림
    • 얼굴 쪽 다리: 엉덩관절 굽힘, 무릎 굽힘, 발목 발등굽힘, 발허리와 발가락 벌림

     

    4. 치료 적용 기준

    대상 횟수/일 시간/회
    영아·소아 하루 4회 1회 20~30분
    학령기 이상 하루 3회 1회 20~30분

    ▷ 가정에서도 보호자가 교육을 받아 반복 치료 가능
    ▷ 자세와 유발점은 아이의 반응을 보며 치료사가 계속 조정해야 함

     

    5. 기대 효과 요약

    • 척추와 목의 정렬 향상
    • 팔·다리의 미세운동 분화
    • 눈 운동, 삼킴, 언어, 저작 기능 개선
    • 호흡, 배뇨·배변 기능 조절 향상
    • 전신의 협응력과 자세 조절 능력 증가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보바스 & 보이타 치료

     

     

    마무리 글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재활치료는 단순히 움직임을 회복하는 것을 넘어, 아이의 삶 전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오늘 소개한 보바스 치료보이타 치료는 각각의 접근법과 원리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아이의 중추신경계 기능 회복과 운동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치료의 효과는 단기간에 나타나기보다는, 꾸준한 반복과 지속적인 자극, 그리고 아동에 맞춘 세심한 평가를 통해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치료 과정 속에서 자신의 몸을 인식하고, 스스로 움직이려는 의지를 갖는 것입니다. 부모님이나 보호자분들도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전문가와 함께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치료를 연결해 나가는 과정에 함께해 주시길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