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월령별 아기 운동발달 총정리] 0~12개월 대근육 발달 단계별 해설
    아동 발달 & 재활 건강노트 2025. 4. 11. 13:38

    최근 몇 년 사이, 아기들의 발달 지연 사례가 점차 늘어나면서 처음 부모가 된 많은 분들이 “우리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 걸까?”라는 고민을 자주 하게 됩니다.

     

    특히 말이 트이기 전까지는 아이의 내적인 발달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워 운동 발달을 중심으로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출생 후 12개월 이내의 아기들은 다양한 대근육 움직임을 통해 성장 신호를 보여주며, 이 시기의 관찰은 발달 문제의 조기 발견과 개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아재활 전문가의 시선으로 0~12개월 아기의 대동작 운동발달(gross motor development) 을 월령별로 나누어 단계별 특징과 부모가 주의 깊게 봐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월령별 아기 운동발달 총정리] 0~12개월 대근육 발달 단계별 해설

     

     

     

    1단계 (0~3개월) — 머리 가누기와 기본 정렬

    이 시기의 핵심 발달은 머리정렬(head alignment)목 가누기(head control) 입니다.
    갓 태어난 아기들은 중력을 이겨내는 능력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움직임은 반사적입니다.

    ▪ 바로 누운 자세

    •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양팔·다리를 굽히며 몸통과 엉덩이는 들려 있음
    • 2개월 무렵에는 비대칭성 긴장성 목반사(ATNR) 가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얼굴이 향한 쪽 팔·다리는 펴지고 반대쪽은 굽혀짐
    • 눈은 물체를 바라보지만 시선을 따라 움직이지는 않음
    • 팔·다리의 신장, 발차기, 몸통 비틀기 등의 움직임이 증가

    ▪ 엎드린 자세

    • 머리를 옆으로 돌리며 고개 들기 시작
    • 팔꿈치 지지자세(on-elbow posture)가 점차 완성
    • 3개월 무렵엔 팔꿈치로 지지하며 머리를 1분간 들어올릴 수 있음
    • 무게중심이 아랫배에 위치하고, 엉덩관절은 굽혀진 상태 유지

    ▪ 앉기와 서기

    • 이 시기엔 스스로 앉거나 설 수 없음
    • 앉은 자세는 등을 굽히고 머리를 앞으로 떨어뜨리는 형태
    • 지지해주면 잠시 서 있는 자세는 가능하지만 원시서기(primary standing) 수준에 머무름

     

    [월령별 아기 운동발달 총정리] 0~12개월 대근육 발달 단계별 해설

     

     

    2단계 (4~6개월) — 앉기 시작과 상체 컨트롤

    이 시기의 핵심은 팔 지지로 상체 들기(pushing up)짧은 시간 혼자 앉기입니다.

    ▪ 바로 누운 자세

    • 두 발을 손으로 잡기, 입으로 가져가기 등의 신체도식(body schema) 활성화
    • 사물 추적(tracking) 기능이 증가하며
      → 구르기(rolling)로 연결
    •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 들기(bridging) 자세로 전환

    ▪ 엎드린 자세

    • 초기: 팔꿈치 지지 → 이후 양손 지지로 몸통 들어 올리기
    • 비행기 자세(airplane posture) 출현
    • 무게 중심이 아랫배에 놓이며 몸통 신장 + 팔다리 움직임 증가
    • 배밀이(creeping) 시도: 처음에는 뒤로 이동하다가 점차 앞으로 가능해짐

    ▪ 앉기

    • 떠받쳐 앉기(propped sitting) 가능
    • 낙하산 반응(parachute reaction) 이 서서히 나타나 손으로 균형 잡기 시작

    ▪ 서기

    • 두 번째 서기자세(secondary standing posture) 가능
    • 발바닥 전체로 서며 다리를 번갈아 들어 올리는 움직임 시도

     

    3단계 (7~9개월) — 이동성 증가, 기기의 시작

    이 시기의 주요 변화는 이동성과 손을 이용한 놀이 증가입니다.

    ▪ 바로 누운 자세

    • 누운 자세를 피하고 일어서려는 시도
    • 두 손으로 발을 잡거나 가구를 잡고 일어서기 시도

    ▪ 엎드린 자세

    • 몸통 안정성 증가로 자유로운 팔다리 움직임 가능
    •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놀이 활동 증가

    ▪ 앉기

    • 지지 없이 앉을 수 있으며 양손 자유롭게 사용 가능
    • 옆으로 앉기는 아직 어려움

    ▪ 네발기기

    • 네발기기 자세에서 흔들기(rocking behavior)
    • 기기 동작의 시작, 초기엔 불안정하나 점점 정교해짐

    ▪ 서기

    • 물체를 잡고 일어서기 시도
    • 무릎서기 → 끌어당겨 서기(pull-to-stand) 로 발달
    • 초기엔 엉덩방아를 찧으며 앉기 시도

     

    [월령별 아기 운동발달 총정리] 0~12개월 대근육 발달 단계별 해설

     

     

    4단계 (10~12개월) — 보행 시작과 기능적 자세의 완성

    생후 10~12개월은 대부분의 아기들이 자세 정렬 능력이동성의 급격한 향상을 보이는 시기입니다.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면서 균형 잡기, 일어서는 동작, 그리고 마침내 걷기(walking) 로 이어지는 발달의 중요한 변곡점이 나타납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기기 능숙도가 높아져 곰자세(bear crawl) 와 같은 다양한 기기 패턴이 나타나며, 팔다리의 교대 움직임이 자연스러워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 앉기

    앉는 자세는 매우 기능적인 자세로, 양손이 자유롭고 균형 조절이 가능하여 아기는 앉은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옆으로 앉기(side sitting) 또는 W자세 앉기(W-sitting) 도 가능해지는데, 일부 아기들은 W자세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이는 무게중심이 낮고 지지면이 넓어 안정성이 높은 자세이기 때문입니다. 단, W자세는 장기간 지속될 경우 관절 정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서기 및 보행의 시작

    이 시기의 특징 중 하나는 가구나 기구를 붙잡고 오르기(climbing) 를 즐긴다는 점입니다. 또한 옆으로 걷기(lateral cruising)에서 점차 앞으로 걷기(forward walking)로 전환되며, 균형 유지를 위해 양팔을 벌리고 걷는 초기 보행 패턴이 나타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는 팔을 점차 내리고, 발가락으로 걷기 → 평발 걷기 → 뒤꿈치에서 발끝으로 이어지는 스텝(step) 보행 패턴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부모가 두 손을 잡고 걷던 아이는 곧 한 손만 잡고도 걷게 되고, 그 이후에는 자연스러운 양팔 흔들기(arm swing) 를 하며 스스로 걷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아이의 보행 자동화와 균형 조절 능력의 성숙을 의미합니다.

     

     

    [월령별 아기 운동발달 총정리] 0~12개월 대근육 발달 단계별 해설

     

     

    마무리 정리

    0~12개월 사이의 운동발달은 아이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아이가 앉고, 기고, 서고, 걷는 모든 과정에는 각 월령에 맞는 발달 기준이 있으며, 그 기준을 파악하는 것은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이 글이 아이의 성장과정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